나르시시즘 Narcissism 이란, 자기 자신에게 애착하는 일



자신이 리비도(정신분석학 용어로 성본능(性本能)·성충동(性衝動)의 뜻)의 대상이 되는 정신분석학적 용어로서, 자기애(自己愛)라고 번역을 합니다.


물에 비친 자신의 모습에 반하여 

자기와 같은 이름의 꽃인 나르키소스, 

즉 수선화(水仙花)가 된 그리스 신화의 미소년 나르키소스와 연관지어, 독일의 정신과 의사 네케가 1899년에 만든 말입니다. 


자기의 육체를 이성의 육체를 보듯 하고, 

또는 스스로 애무함으로써 쾌감을 느끼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들어 한 여성이 거울 앞에 오랫동안 서서 

자신의 얼굴이 아름답다고 생각하며 황홀하여 바라보는 것은 이런 의미에서의 나르시시즘입니다. 


이 말이 널리 알려진 것은 S.프로이트가 이를 정신분석 용어로 도입한 뒤부터인데

그에 의하면 자기의 육체, 자아, 자기의 정신적 특징이 리비도의 대상이 되는 것, 

즉 자기 자신에게 리비도가 쏠려 있는 상태입니다

자기 자신이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입니다. 


정신분석에 따르면 유아기에는 리비도가 자기 자신에게 쏠려 있는데 

그래서 프로이트는 이 상태를 1차적 나르시시즘이라고 하였습니다. 


나중에 자라면서 리비도는 자기 자신으로부터 떠나 외부의 대상(어머니나 이성)으로 향합니다


그러나 애정생활이 위기에 직면하여 상대를 사랑할 수 없게 될 때, 

유아기에서처럼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상태로 되돌아가는데

이것이 2차적 나르시시즘입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