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로스 섬의 등대



등대는 먼 곳까지 항해하는 배가 없다면 쓸모가 없는 건축물. 


따라서 아주 오래전에는 등대가 없었던 것이 틀림없는데

현재 알려진 바에 따르면 고대 세계의 7대 불가사의 가운데 하나인 파로스 섬의 등대가 그 기원. 


파로스 등대는 기원전 280년 무렵 알렉산드리아 항 앞의 파로스 섬에 세워졌고

1994년 프랑스 해저 고고학 발굴 팀이 이집트 정부의 지원을 받아 탐험에 나서 

그 해 가을 아부 키르(Abu Qir) 해안에서 6킬로미터 정도 떨어진 

해저 7미터 내외의 바다 속에서 파로스 등대의 일부로 보이는 유물 여러 점을 인양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그 가운데는 검은색 화강암으로 만들어진 

높이 4.55미터에 12톤이나 나가는 이시스 상이 포함되어 있는데, 

아마 등대의 윗부분에 장식되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집니다. 


이시스는 고대 이집트의 여신으로 그녀의 남편 오시리스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신입니다.



등대의 꼭대기에는 바다의 신 포세이돈이 우뚝 서 있었으며, 

1층에는 30개의 반인반어 해신상과 태양의 진로에 따라 손가락이 움직이는 신기한 동상이 있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파로스 등대가 고대 세계의 불가사의 가운데 하나로 선정된 이유는? 


등대가 서 있는 파로스 섬은 알렉산드리아와 1킬로미터 정도의 제방으로 연결되어 있었는데, 

대리석으로 이루어진 등대는 그 높이가 135미터에 달하고 

등대 안에는 수백 개의 석실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놀라운 일은

파로스 등대에서 밝히는 빛은 반사경을 타고 50킬로미터 밖까지 전해졌다고 합니다.


3개 층으로 이루어진 등대는 맨 아래는 팔각형, 

가운데는 사각형, 

맨 위는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등대 안쪽에 난 나선형의 길은 등대 맨 위까지 이어집니다. 


이 길은 계단이 아니어서 사람뿐 아니라 말도 걸어 다녔다고 하는데 

한편 발굴된 이시스 상은 길이 끝나는 옥탑에 설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이 등대는 과연 어떤 연료를 이용하여 빛을 냈을까? 

근대의 등대는 나무나 석탄 등을 이용해 불을 피웠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연료들은 불빛을 낼 때 엄청난 양의 그을음을 동시에 만들어 내는데

이런 그을음은 바닷바람을 막아 주는 유리창을 검게 만들었고, 등대의 역할에 커다란 장애가 되었습니다. 


그런 까닭에 19세기에 들어서면서

생선이나 식물 등에서 추출한 무연 연료를 이용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니 지금으로부터 2200여 년 전의 등대에서 어떤 연료를 사용해 빛을 냈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한편 파로스 등대는 800년대에 들어서면서 

신성로마제국군과 이슬람 군대 사이의 투쟁 속에서 주요 부분이 파괴되어 

등대로서의 역할에 종지부를 찍었고 대신 신전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리고 1300년대에 들어 이집트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그 외부 모습마저 자취를 감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